- Tula
- Tula Arms Museum
- дед-мороз & Снегурочка
- Moscow's beautiful parks
- 5월의 시소타기
- Non graffiare!
- 펠메니&그례치카
- 빌니우스 국립미술관
- 즈베니고라드
- Солигорск/솔리고르스크 벨라루스
- Thanks Moscow
- 수즈달 in 러시아
- 벨라루스우체국
- 빌니우스
- 키예브 공항
- Goodbye Russia
- 다차(Дача)
- The Brest lamplighter
- 1월 7일 크리스마스날
- 우크라이나 항공
- 벨라루스 나스비주
- 조국 수호
- 알타이 공화국
- I am an alien
- 마슬레니차
- С Днем матери в Беларуси
- С Новым Годом!
- Volga river
- Soligorsk/Солигорск
- 재외선거
목록분류 전체보기 (472)
La vita è bell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iZeN/btq1uwxPqkA/bjigtPkbow02q1zfO9I42k/img.jpg)
2002년 문을 연 브레스트 철도 박물관. 소규모로 보이지만 볼거리는 정말 풍성하다. 기차 특히 기관차(locomotive): 구름 떼 같은 연기를 날리며 등장하는 기관차는 많은 영화의 주요 장면으로 기억된다. 내 직접적인 경험과는 무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흑백 영화 속 역사의 시간으로 나를 데려간다. 브레스트 철도 박물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기관차는 50여대, 20세기에 만들어진 것들이다. 대부분 소련 시절 제품으로 나에게는 영화 속에서나 봤음직한 외형으로 호기심이 잔뜩 발동한다. 전시용 열차 중 두어 대가 독일 제품이라고 하니 전문가 혹은 기관차 덕후에게는 그것들을 찾아내어 보는데도 흥분의 시간이 된다. 베비라쿠아씨 가족 중 기관차 전문가, 덕후는 없으니 그저 형형색색의 감탄사 연발하게 만드는 오래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V8Sf/btq1qPczMrp/4Q27ExupYCLPWooXNRfvuK/img.jpg)
며칠 전 유튜브로 매주 빼먹지 않고 보려 나름(?) 노력하는 영상을 보다가 중간 광고로 올라온 영상을 주의 깊게 보았다. 여.러.번 보았다. 내가 유튜브를 통해 주기적으로 보는 프로그램이 몇 개 되지 않는 이유도 있고 구독이나 좋아요를 누르지 않는 소심함도 있기에..... 나는 가급적 내가 보는 영상 사이사이 올려지는 광고를 시간에 제약받지 않고 끝까지 보려고 한다. 소심한 한 시청자의 미안함과 고마움이라 애써 포장하여 나를 변호한다. 벨라루스에 살고 있기에, 벨라루스 관련 광고들이 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벨라루스에서 만든 혹은 벨라루스 소비자를 목표하여 만든 광고를 보고 있으면 이곳의 흐름도 읽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내가 주의 깊게 반복적으로 본 광고는 삼성의 청소기 광고였다. 광고 영상이 끝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8Unj/btqZBcVXcxa/xfqiyRt3jkPauDd33DMKhk/img.jpg)
River Bug, 부그 강은 벨라루스와 폴란드를 가로지르며 흘러 우크라이나로 향하는 강줄기이다. 이 강을 경계삼아 국경이 나뉜다. 브레스트 요새를 둘러싸고 흐르는 강줄기, 국경을 가로질러 그저 자유롭게 이리저리 오갈 수 있는 생명체는 이 강 속에 살고 있는 물고기들이다. 그러니 낚시꾼들에게 잡히는 고기는 저 낚시꾼들은 길고 어려운 과정을 겪어야 넘을 수 있는 국경을 여권도 비자도 없이 자유자재로 다녀온 그야말로 프리패스 자유로운 영혼들인 게다. 인간이 걸어서 넘을 수 있는 국경은 많다. 하지만 인간의 걸음으로 넘을 수 없는 국경도 많다. 브레스트 요새를 보고 나와 숙소로 가기 전, 폴란드와의 국경선을 보고자 차를 몰았다. 이것은 지극히 단순한 호기심이었다. 개인적으로 국경선 앞에 서보는 것을 좋아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5leAl/btqYW2LQB4S/cCnZWNjxMs2V7fCqWt4B0k/img.jpg)
한동안 전쟁 박물관, 무기 박물관 혹은 학살 기념관등의 이름의 박물관을 열심히 다녔다. 여전히 그 호기심이 식은 건 아니지만 호기심이라는 단어를 쓰기에는 너무도 무거운 주제의 내용을 담고 있기에 이제 내게는 망설임이 든다. 그렇다고 하여 관심이라는 단어를 선택하는 것에도 오류는 있다. 종군기자라는 직업에 내 유년시절의 큰 그림을 그려보았던 시간을 돌이켜보면 '전쟁'이라는 이 무시무시한 단어와 친근해야 했음이 마땅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난 전쟁이라는 단어가 정의하는 그 내용에 내 삶을 투척할 용기도 지속적으로 관계(?)를 맺을 자신도 진정 없었다. 드라마 미스터 선샤인의 한 주인공의 말처럼 나는 무용하여 아름다운 것에 큰 관심과 지대한 호기심을 갖는 지극히 평범하고 지극히 용기 없는 인간이다. 다만 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ahltY/btqYDjWv02C/ZLirKXdxVyAyxSAgUM3150/img.jpg)
브레스트 요새. 요새의 사전적 의미는 '국방상 중요한 곳에 튼튼하게 만들어 놓은 방어시설'이다. 이 의미는 전쟁을 경험한 세대와 그렇지 않은 세대 즉 총과 대포, 탱크와 전투기라는 무기를 들고 하는 전쟁의 직간접적 의미를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먼저 다가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요새'의 첫 번째 사전적 의미는 '요전부터 이제까지의 가까운 얼마 동안'이기 때문이다. 말장난하기 좋은 단어의 좋은 예다. 2017년 모스크바 거주 당시 도시 '툴라'를 방문했다. 툴라는 톨스토이의 생가인 야스나야 폴랴나(Yasnaya Polyana)가 위치한 곳으로 유명하지만 '영웅 도시'라는 이름으로 더욱 유명한 곳이다. 여행을 다녀온 이후, 개인적으로는 진정 프랴니크(진저브래드 빵)가 너무 맛있는 프랴니크의 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i2wc/btqX32He3pd/TuVqf2CmySQ3tTXP01Mws1/img.jpg)
한 단어가 '단정짓다'라는 혹은 '정의하다'는 결론으로 서게 되는 경우가 있다. 생각보다는 참.... 많다. 나는 가급적 내가 처한 상황으로 내가 경험한 일례들로 마주하는 상황들을 정리(?)하려 노력한다. 노력한다는 것은 생각보다 매우 어려운 과정을 겪는다. 나는 노력하지만 노력의 실패 역시 자주 마주한다. 지난한 과정들이 고단하여 편하고 빠른 결론으로 마무리를 짓기도 한다. 문제는 빠르고 쉬운 결론에 도달했을 때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게 되고 심지어는 괴로워지는 경우에 처하게 되었을 때이다. 요즘은 괴로워하는 내가 싫어지는 단계인 위선 그리고 위악이라는 자가당착에 빠져 허우적거리는 중이다. 8세라는 나이에 들어선 아이에게 어떠한 현상이나 상황을 설명해야하는 시간을 마주하며 나는 위선과 위악이라는, 생각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30wfn/btqVta1Vq4m/C5dwh3tymKl3qnMcvmkkh1/img.jpg)
개인적으로 벨라루스는 아이들을 동반한 여행지로 손색이 없다.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 국립공원은 그중 단연 최고인데 바로 공원 안 '산타 할아버지네 집( a palace of Belarusian Grandfather Frost)' 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365일 연중무휴다.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관광객을 맞아주는 뎨드 모로즈와 스니고로치카. 산타할아버지의 하복(여름용) 착용이 궁금하니 여름날 이곳을 꼭 다시 와봐야 하는 이유가 계속하여 생긴다. A palace of Grandfather Frost and house of the Snow Maiden 이탈리아의 바보나딸레(Babbo Natale) 혹은 한국의 산타할아버지를 상상한다면 '저건 뭐지?'의 뎨드 모로즈 와 스니고로치카(дед-моро..
역사적 배경의 정치적 협약지로서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 국립공원을 본다면 벨라베자 조약이 있다. 1922년 12월 30일 러시아 SFSR, 우크라이나 SSR, 벨라루스 SSR 그리고 코카서스 SFSR(Transcaucasian Socialist Federative Soviet Republic)의 대표단이 모여 '소비에트 연방 수립 선언'( Treaty on the creation of the USSR)을 한다. 70년을 채우지도 못하고 1991년 12월 30일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대표가 모여 소련해체를 합의 하는 문서를 조약한다. 이것을 벨라베자 조약(Belovezha Accords)이라 하며 이 협의가 이루어진 장소가 바로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 국립 공원 안 비스쿠리 정부청사(Viskuli ..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 국립공원 활자체로 씌여있는 공원이름을 읽는 것 조차도 (내게는)힘든 이름의 이 공원은 심지어 두 이름을 가지고 있다. 벨라루스어로는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 국립공원이고 폴란드어로는 바이알로비에자(Bialowieza)국립공원이다. 위키백과에 들어가 이 국립공원 정보를 들여다 보면 오른쪽 상단에 show map of Poland 와 show map of Belarus 가 있다. 공평하게 두 나라의 양쪽을 보여주니 예상 가능 하다. 바로 국경에 위치한 거대한 국립공원이다. www.npbp.by/eng/유럽의 원시림 중 가장 오래되었다고 추정되고, 현재 유럽의 마지막 남은 원시림인 벨로베시즈카야 푸슈차는 벨라루스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을 보여주는 최고의 예로 꼽힌다. 사실 폴란드의 입장에서 보..
브레스트의 도시 슬로건은 '천년의 도시'이다. 길고 복잡한 역사를 가진 브레스트는 오랫동안 그 시대를 장악했던 나라들의 일부가 되었었고 이에 많은 (당시 주류의)선진 문화가 교차했던 것이 장점으로 작용되기도 했지만 침략 전쟁의 사실상의 볼모(인질)지였다. 11세기 키예프 공국, 폴란드 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점령지로, 19세기 러시아 제국령으로, 20세기에는 다시 폴란드령이 되었고 1939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소비에트 연방의 몰락과 함께 지금의 벨라루스령 도시 브레스트가 된다. 시간의 흐름으로 역사가 기록된다면 시간의 흐름으로 문화는 지속된다. 브레스트의 오래된 문화유산으로 브레스트 시민의 자랑거리 중 하나가 이 점등식이다. 브레스트 최초의 원시적 가로등(stre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