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anks Moscow
- Soligorsk/Солигорск
- Non graffiare!
- Tula Arms Museum
- С Новым Годом!
- 재외선거
- 즈베니고라드
- 조국 수호
- 펠메니&그례치카
- 우크라이나 항공
- Солигорск/솔리고르스크 벨라루스
- дед-мороз & Снегурочка
- 마슬레니차
- 다차(Дача)
- С Днем матери в Беларуси
- The Brest lamplighter
- 벨라루스 나스비주
- Moscow's beautiful parks
- I am an alien
- 벨라루스우체국
- 알타이 공화국
- Goodbye Russia
- 빌니우스
- Tula
- Volga river
- 1월 7일 크리스마스날
- 빌니우스 국립미술관
- 수즈달 in 러시아
- 5월의 시소타기
- 키예브 공항
목록전체 글 (472)
La vita è bella
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 / Christmas дед-мороз & Снегурочка 반가운 얼굴인 дед-мороз & Снегурочка를 민스크에서도 만난다. дед-мороз (뎨드 모로스)를 굳이 직역하면 서리, 얼어붙은 추위의 할아버지가 된다. 의역하면 산타 할아버지다. 그의 옆에는 항상 스니고로치카 가 있다. 러시아 동화 'The snow maiden(Снегурочка)' 의 주인공인 스니고로치카. 눈의 여인인 그녀와 서리 할아버지의 조화는 동슬라브족인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성탄절에서 빼놓을 수 없는 주인공들이다. 지난 해 겨울, 러시아령 동 카렐리아(https://cividale-33043.tistory.com/299?category=681063)에서도 만난 그들. ..
серена / Serena 대부분의 예비 부모가 그렇듯 우리 부부도 태중 아이의 이름으로 무엇이 좋을까를 꽤나 진중히 고민했었다. 즐거운 고민이기도 했지만 이름의 의미가 태어 날 아이의 품성 그리고 성장기 속 삶의 원동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될까를 생각하면 심각한 고민이 되기도 했다. 우연히 서점을 갔다가 유아/ 아동 부서에서 발견한 이탈리안 (사람)이름과 그 이름의 의미를 담은 모음집을 발견하고 구매한 후 열독을 했던 기억이 난다. 아마 이탈리아에도 우리 같은 심정의 예비 부모가 한 둘은 아니테니 발간 된 책이지 싶다. 꽤 두꺼웠던 책이였는데 매일 밤, 페이지를 넘겨가며 행복한 고민에 조잘 거렸던 우리 부부의 시간이 생각 난다. 여러 이름이 거론 되었었지만 우리의 선택은 Serena 였다. 세레나의..
나는 책이 가득 차 있는 공간이 좋다. 그 공간이 꼭 서점이라는 이름을 붙인 공간이 아니여도 좋다. 빼곡하게 들어 찬 책을 보유하고 있는 공간이 화장실지언정 책이 가득차 있다면 그곳이 어디든 그 공간은 좋다. 전시의 목적이어도 좋다. 지적 허영심이 동한다 하여도 좋다. 술과 담배, 마약이 가득차 있는 공간 보다는 건강한 것이 아닌가...... 이렇게 나는 또 나를 위로하기 위해 자기 합리화를 열심히 하는 중이다. 빌니우스에서의 마지막 날, 빌니우스-뭰헨-트리에스테로 향하는 저녁 비행기를 타야 하니 아침,점심 나절 일정까지 나름 충실히 채우고 공항으로 향했다. 똑똑한 손전화기를 소유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 택시를 불러야 하니 삼일간 머문 호텔 데스크에 도움을 청했다. 호텔직원은 호텔과 연계되어 있는 한 택시..
The Iron Curtain (철의 장막) 위키백과 정보를 읽어보니 이 표현은 1819년 "뚫을 수 없는 장벽" 이라는 뜻으로 처음 나타났고 1920년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권 경계라는 뜻으로 쓰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 말이 유명해 진 것은 1946년 3월 5일 영국의 총리 처칠의 한 연설에 의해서다. 철의 장막....... 장막을 얼마나 단단하게 치고 싶었으면 철이라는 재료를 동원한 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을까. 그만큼 단단하게 만든 장벽으로 장벽을 친 그들이 보호하고 보존하여 이어가고 싶었던 미래는 무엇이었을까? 하지만 그 누가, 그 어떠한 타당성을 이유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벽을 치고 넘어오가지 못하는 선을 그을 수 있단 말인가........ 결국 그 시대에 그리도 유명했던, 무너질 것 같지 않았던..
빌니우스 24시간 패스 카드로 뽕을 뽑는다. 미술관, 박물관, 시내 투어 버스, 곤돌라까지 타고 마지막으로 가장 늦은 시간까지 문을 열어두는 게디미나스 성탑에까지 올라본다. 노을이 내리는 여름 날의..... 도시 빌니우스가 보고 싶은 이유가 가장 컸다. 아직 노을이 내려 앉지 않은 시간에 오른 성탑에서의 풍경은 내 머리 속 많은 상념을 지운다. 나에게는 발트 3국이 꽤 친숙하게 느껴지는 이유가 있다.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던 시절, 내가 익숙하게 살던 혹은 익숙해야한다 강요당한 세상의 소식에서 많이 낯설던 세상의 소식을 하나 둘씩 몸으로 접하며 나에게 가장 큰 충격으로 다가온 이야기는 아제르바이잔의 검은 1월과 아르메니아 양민 학살 그리고 발트의 길 이었다. 마음에 받은 심한 자극은 궁금증으로 연결 되었고..
빌니우스 국립 미술관 카페에서 점심까지 해결하고 나오니 오후 3시가 되어 가고 있었다. 규모가 크지 않은 국립 미술관에서 3시간 이상을 보낼 수 있었던건 한산한 미술관에 한산한 내가 있었기 때문이다. 빌니우스 24시간 패스 카드는 시내 투어 버스를 무제한 타고 내리는 것이 포함 되어 있었다. 햇살이 좋으니 그저 버스를 타고 시내를 빙빙 돌아보는 것도 좋을 듯하여 이층 버스, 뚜껑 열린 이층, 제일 뒷자리에 널부러져 1시간 가량 멍하니 바람을 맞으며 이동하는 차의 동선을 따라 풍경을 본다. 단정한 관광 지역도, 소박한 거주 지역도, 구시가지도 신시가지도 모두 내 마음에 든다. 마음이나 감정에 좋게 여겨지다 라는 뜻의 '마음에 들다'. 나는 '내 마음에 들게 행동하다' 와 '상대의 마음에 들게 행동하다' 중..